조강지처란 <후한서>에서 유래된 말로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게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이다.
제목으로 알수 있는 것은 조강지처를 버린 남편들이 후회하면서 조강지처를 찾아온다는 것일 것이다.
이 드라마를 처음 보았을때 원수, 이기적의 연기가 너무 너무 식상해서 짜증이 났는데 이상하게도 자꾸 보고 싶어지는 것이 이상했다. 미친 놈 하면서도 원수가 눈물흘리며 아내 화신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뜨거워진다.
그러다가 다시 원수의 저질 코믹 연기같은 행동을 보면 짜증을 낸다.
이극을 쓴 작가는 처름 등장인물의 이름을 설정하면서 여자의 분노를 담았고, 유모어를 담긴 것을 암시해 준다.
“너무 식상해서 다시 안봐”하면서도 토, 일요일 밤만 되면 sbs를 틀게 된다.
이 드라마는 초반기에는 나쁜 남편들이 조강지처를 버리고 애인과 바람행각을 벌이는 것으로 시작된다.
원조 남편 아버지 한심한(한진희)이 같은 동네에 사는 여동생 복분자를 만나 새로 살림을 차리게 된다.
조강지처 안양순(김해숙)은 귀막고 눈막고 큰 아들 원수, 딸 복수를 키우며 살게 된다.
분자와 남편 사이에서 낳은 한선수(이준혁)를 자기 아들로 호적에 넣어주고 선수의 장래를 생각해서 비밀로 하고 양순이가 친어머니로 행세하며 키운다. 남편은 집에서 가까운 곳에서 치킨집을 하며 첩과 살고...
큰 딸 복수, 큰 아들 원수, 작은 아들 선수가 결혼을 하게 된다.
아버지의 가정일탈로 시작되어 부모를 닮기라도 하듯 서로 경쟁을 하며 자식을 둔 가정이 깨어지기 시작한다. 인과응보처럼...
원수의 처 화신과 복수는 어릴적 친한 친구이고, 그런 단짝 친구 집을 드나들다 화신은 복수 오빠 원수와 결혼하게 된다. 부모를 일찍 여의고 남편밖에 모르며, 남편바라기처럼 시어른 모시고 살림만 하며 살았다. 화장도 안한 얼굴에 펑퍼짐한 몸매, 그렇게 생활을 한다.
복수는 의과대학을 나온 남편과 결혼하여 뒷바라지를 한다. 몸빼바지를 입고 빠글빠글 파마를 하고 돈버는 것, 애키우는 것만 생각하며 살아간다.
원수는 다른 여자를 알게 되고, 복수의 남편 이기적도 세련되고 멋진 여자와 바람을 피우게 된다.
그때 이기적이가 만난 여자가 길억의 부인 정나미이다.
길억은 큰 병을 앓고 생사의 기로에 선다. 배신받은 길억은 모든 것을 정나미에게 주고 이혼하며 고통받는다. 그런 과정에서 상처받은 길억과 복수가 만나 서로를 위로해주면서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급기야는 결혼을 앞둔 사이가 된다.
원수는 모지란과 사랑에 빠져 가정을 지킬려고 하는 화신을 쫓아내고 모지란을 집에 들여놓는다.
화신은 쫓겨나 혼자 살아가면서 대기업 아들일뿐만 아니라 젊고 잘생긴 총각 세주를 만나게 되고 그곳에서 화신은 세상을 배우고 패션디자인 업무에서 능숙한 재능을 나타낸다. 남편만 바라보며 촌스럽게 생활한 화신은 어디에도 없다.
세주는 어머니를 버린 아버지에 대한 미움으로 인해 어머니의 사랑을 그리워하다 화신에게서 어머니를 느낀다.
그런 화신의 변화하는 모습을 보고 원수는 모지란에게 향한 마음은 한밤의 꿈이 되고고 화신을 찾게 된다.
후회하지만 1년넘게 원수만을 믿고 가정을 박차고 나온 모지란은 원수에게서 떨어지지 않는다. 갖은 학대를 받으면서 모지란은 땅을 치고, 가슴을 치고 통곡하면서도 어쩔수 없이 원수 옆에서 버틴다. 싱크대 한모서리에는 소주병을 두고 가슴이 답답할때마다 마신다. 가정을 버리고 나와서 더 이상 갈곳도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드라마의 반전(죄인들에 대한 형벌)이 시작된다.
가정파탄의 원인을 제공한 원수, 이기적, 모지란, 정나미는 불행의 덫에 빠진다. 인과응보, 권선징악처럼..
다시 그들은 물에 빠진 사람처럼 남편과 아내를 찾아온다.
다음으로 죄를 벌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복수, 화신은 새로운 남자를 만나 새롭게 진실한 사랑을 하지만, 이루어질수 없는 사랑으로 되어간다. 그것이 또한 그들을 아프게 한다.
버린 자는 후회의 아픔과 저주받은 아픔을 받고
버림받은 자는 이룰수 없는 사랑 때문에 아파한다.
아버지는 다리병신이 되어 , 본처 양순에게 돌아오고, 원수는 화신을 잊지 못해 헤매고, 이기적은 병원에서 쫓겨나게 된다.
다음으로 가정으로 회귀이다.
자신만을 바라보고 자식을 키우며 생활한 본처를 버리고 새로운 여자와 즐기다가 돌아온 남자들을 버리지 못하고 자신의 사랑을 포기하는 스토리, 그 자체가 21세기에 우스운 이야기지만,
이 극은 제목처럼 버림받은 복수, 화신, 길억은 아마 새롭게 나타난 진정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내고 가정을 지키리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추잡한 배우자를 내치지 못하고, 새롭게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나보내는 그런 구시대의 드라마지만, 이 드라마가 따스한 감동으로 다가오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기적이 울면서 복수에게 말할 때, 원수가 화신을 찾아 눈물을 흘릴때, 길억이가 자신을 버린 여자가 자신의 아이라고 낳은 자기의 아들을 보고는 헤매일때, 그런 스토리가 너무 식상한데도 왜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일까?
왜 나는 이 드라마에 이렇게 열광하는가?
생각을 해보니 연기자들이 코미디 같은 연기를 하다가도 어느 한순간 이루의 멋진 음악이 흐르며 사랑, 한, 그리움의 영상이 흐르면 언제 이 드라마가 코미디였는지, 사이코 였는지 혼돈이 되어 감동으로 가슴이 설랜다
이 드라마의 백미는 음악과 함께 무언으로 전달해주는 영상, ‘뮤직비디오’라고 생각한다.
그 영상속에서 작가는 말로 이룰수 없는 진실을 말해주고 있다.
드라마 인물들은 지극히 희극적이지만, 음악과 함께 나오는 뮤직비디오는 너무 감성적이라서 모든 것을 승화시켜 주기 때문이다.
◦ ♬...내가 지켜줄꺼야 . 이루 사랑만으로 살 수 없구나 사랑이 전부라 믿은 난 어렸었구나 사랑이란 건 시작하는 것보다 살아가는 동안에 지켜주는 거구나 그런 사랑 알게...
...
이렇게 음악이 흐르면 드라마에 빠져들어가 버리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에서는 사랑, 이별, 가정, 어찌할수 없는 인생을 뮤직비디오로서 표현해주기 때문이다. 그 뮤직비디오속에서 작가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가정이라는 것은 자석처럼 끌게 되는 것이라고,
아무리 가정을 떠날려고 해도 떠날 수 없는 힘이 있다는 것을
여보게 남편, 여보게 아내들
가정을 뛰어나가서는 순간적 유희일뿐이라네...,
'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입니다. (0) | 2008.10.23 |
---|---|
가을비 우산속 (0) | 2008.10.22 |
오늘은 경찰의 날입니다. (0) | 2008.10.21 |
쟌차를 타면서 (0) | 2008.10.18 |
모짜르트의 소나타를 치면서/.... (0) | 2008.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