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시인입니다.
사라지는 바침
마루치아라치맘
2019. 1. 10. 10:19
학교가 하쿄
운동이 운도미
생일이 새일
치는 글자는 받침을 귀찮아 한다.
받침이 나오도록 숨죽여 기다리는 동안
저절로 연음이 되는 문자에
한숨을 쉬며 천*천*히
라고 되새긴다.
오늘도 나는 문자를 친다.
손목에 근육이 없어져
연필을 오래들지 못하고
속도가 나지 않는다.
오른손 중지에 박힌
구등살도 사라져 간다.
약해진 손목을 잡고
올해는 다이어리를 사서
펜으로 적어
향내나는 글자를 좀 그리기로 다짐한다.
솔나무가 소나무로
돌이 돌로
넘어가 너머로
고전이 되어
사라진 받침들
뜨란채 아파트
글로벌화가 되면서
기업명도 표준말대신
단순함을 간택했다.
받침을 세워놓은
한글을 보고
프랑스 선교사가
그림같다고 했다.
햅쌀
부엌
흙
손깍지
얼음
즐비하게 놓인 중심을 세운
받침글자들
서서히 치는 문자의
타킷이 되어
연음화 되어 지겠지
역사를 그렇게 철동같은 원칙을 버리고
단숨함을 택하고 있다.
역사가 너무 고리타분하고
불합리한 줄 알았는데
부지불식간 변하는 것을
체험하면서
나도 따라
혁명처럼
단순함을 간택하게 된다.
행복도
단순함에서 온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